2025. 3. 31. 13:27ㆍ복지 이야기
2025년 장애인 혜택 총정리
장애인 복지는 해마다 변화하고 있으며, 2025년에도 여러 제도가 개선되었습니다. 다. 각 혜택의 상세 내용과 신청 방법을 숙지하여 필요한 지원을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보건복지부 공식 홈페이지나 해당 지자체의 복지 담당 부서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연금 2025년 기준
2025년 1월부터 저소득 중증장애인을 위한 장애인연금이 인상되었습니다. 기초급여액은 전년도 대비 7,700원 상승한 월 최대 34만 2,510원이 지급되며, 부가급여 9만 원을 합산하여 총 월 최대 43만 2,51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선정기준액은 단독가구 기준 월 소득인정액 138만 원 이하, 부부가구는 220만 8천 원 이하로 설정되었습니다.
기초급여액: 월 최대 342,510원 → 부가급여 포함 시 최대 432,510원
장애인 연금선정 기준
단독가구: 소득인정액 138만 원 이하
부부가구: 소득인정액 220만 8천 원 이하
신청 방법: 복지로(https://www.bokjiro.go.kr/ssis-tbu/index.do) 또는 주민센터 방문
장애인 세금 혜택 (소득세, 상속세, 자동차세 등)
소득세 공제: 장애인 본인 및 부양가족 공제 가능
장애인 본인 및 부양가족에 대한 소득세 공제와 장애인을 위한 상속재산에 대한 추가 공제가 제공됩니다. 의료비 세액공제도 가능하며, 장애 관련 의료비에 대한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자동차세 감면: 장애인 등록 차량 세금 면제 조건
장애인이 보유한 차량에 대한 자동차세가 면제되며, 취득세 및 재산세 감면 혜택도 제공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지자체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면제조건 신청방법 : 살고있는 읍,면,동 센터방문
장애인 금융 및 대출 지원
저금리 대출 및 금융수수료 면제 장애인을 위한 특별 금리의 금융 상품이 제공되며, 은행 계좌 개설 및 관리 수수료가 면제됩니다. 정부 지원 대출로는 장애인 가정을 위한 주택 마련 대출 지원이 있으며, 장애인 전용 저축 상품 가입도 가능합니다.
장애인 저금리 대출 신청 방법
장애인 대상 저금리 대출: 주택 구입, 생계비 등 용도별 상품 제공
금융 수수료 면제: 은행 이용 수수료, 자동이체 수수료 면제
전용 저축상품: 고정금리 + 비과세 혜택
장애인 생활 편의 지원
전기/통신요금 할인: 월 최대 30~50% 할인 가능
장애인 가정에 전기요금 및 통신요금 감면 혜택이 제공됩니다. 또한, 장애 관련 치료비 및 약제비 지원, 보장구 지원 등 다양한 생활 지원이 이루어집니다.
교통 지원: 대중교통 50% 할인, 장애인 주차장 우선 사용
장애 등급 1~6급 소지자는 대중교통 50%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우선 사용 권한이 주어집니다. 신청은 지자체 교통과를 통해 가능합니다
의료비 및 치료비 지원: 지자체별로 차등 지원
의료급여법에 의한 의료급여 2종 수급권자인 장애인 및 차상위 의료급여 2종 수급권자였던 만성질환자, 18세미만 아동은 2009.4.1.부터 건강보험의 차상위 본인부담 경감대상자로 전환되더라도 계속하여 장애인의료비 지원 대상이 됨
1차 의료급여기관 진료
- 본인부담금 1,500원중 750원 지원(원내 직접 조제)
- 본인부담금 1,000원중 750원 지원(그 이외의 경우)
2차, 3차 의료급여기관 진료
의료(요양)급여수가적용 본인부담진료비 15%(차상위 14%, 암환자 5%, 입원 10% 등) 전액을 지원하되 본인부담금 식대 20%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혜택방법 : 의료급여증과 장애인등록증을 제시
장앵;ㄴ 교육 및 직업훈련 지원
만 3세부터 24세까지의 장애인은 유치원부터 대학 등록금 전액 또는 70%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은 해당 학교 또는 교육청을 통해 가능합니다.
장애인 대학교 등록금 지원 가능할까
교육비 전액 지원: 유아~대학생까지 최대 100% 등록금 지원
직업 훈련비 + 훈련수당: 월 최대 50만 원 지급
장애인 직업훈련 신청 방법
만 15세 이상 취업 희망 장애인은 무료 직업훈련을 받을 수 있으며, 훈련수당 월 50만 원이 지급됩니다. 신청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홈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신청방법 : https://www.kead.or.kr/
지자체 특별 복지 - 장애인경기도 기회소득 예시
경기도에서는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을 대상으로 월 10만 원의 기회소득을 지원합니다. 신청 대상은 13세부터 64세까지의 경기도 거주자로,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인 자입니다. 신청은 경기민원24를 통해 온라인으로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해당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지급액: 월 10만 원
대상: 중증장애인,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13세~64세 경기도민
신청 방법: 경기민원24 https://gg24.gg.go.kr/main/main.do
장애종류 신체장애 감각장애 내부기관장애 지적발달장애 정신장애 종류
장애종류 신체장애 감각장애 내부기관장애 지적발달장애 정신장애 종류
장애종류 신체장애는 이동성 장애로 스스로 이동하기 힘든 사람들이 가진 장애를 말하며, 감각 장애는 시각, 청각 등 감각 장애를 합니다. 내부 기관 장애는 장기로 인하여 생긴 장애로 일상생
1suk2jo.com
장애인택시 이용방법 경남 장애인콜택시 특별교통수단 두리발 자비콜 쏠라티
부산 장애인택시 이용방법 경남 장애인콜택시 특별교통수단 두리발 자비콜 쏠라티
장애인콜택시 이용방법부울경 부산,울산,경남등 장애인,노약자 등 대중교통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교통약자들의 위한 특별교통수단 으로 두리발, 자비콜, 쏠라티의 이용방법과 탑승정원,
1suk2jo.com
'복지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양육수당 총정리 양육수당 언제까지 받을수 있나? 어린이수당 농어촌수당 장애아동수당 (1) | 2025.04.02 |
---|---|
신용불량자 통장압류 방지 압류통장 자주 묻는 질문 행복지킴이 통장 신청방법 (0) | 2025.03.31 |
실업급여 유형 재취업활동 인정 기준 구직 외 활동 인정 범위 (0) | 2025.03.30 |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동시 신청방법 자격 지급 금액 및 지급일 (1) | 2025.03.09 |
실여급여 신청방법 실여급여 자격 서류 교육 지급일 실여급여 지급 금액 계산 (0) | 2025.03.08 |